본문 바로가기
직업 정보

과학자 되는법 연봉 알아보자 (2023)

by 공부하는 헨리 2023. 4. 16.

안녕하세요^^

 

오늘은 과학자가 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이 글은 과학자가 꿈인분들이나 자식을 과학자로 키우고자 하는 학부모님들이 많이 보시리라 생각되는데요.

 

과학자가 되기까지의 개괄적인 과정에 대해 소개해드릴테니 집중해주세요.

 

과학자가 되려면 먼저 대학에서 과학과 관련된 전공을 가져야해요.

 

과학과 관련된 전공이라고 한다면 화학과나 지구과학과 천체물리학과 물리학과 등의 자연계열 학과라면 어디든 좋습니다.

 

여기서 궁금하실 수 있는 점이 과학이 다양한 분야가 있는데 4년이나 배울 대학교 전공인데 왜 어디든 괜찮냐고 하는지 의아하실 수 있어요.

 

대학교 4년간 전공수업을 배우는 것은 맞지만 생물학과라고 하더라도 화학에 대해서 배우고 화학과라고 하더라도 물리에 대해서 배우죠.

 

화학과 전공생인 제 기억을 떠올려보면 4학년때도 유기물리화학 등을 배웠던 것이 기억나네요^^

 

그렇게 학부를 진학하여 학교내 연구동아리 같은 것을 들고 연구에 대한 감을 익히고 학부수업을 열심히 들으면서 나에게 맞는 세부전공이 어느것인지를 보는 것입니다.

 

예를들면 물리, 화학, 생물 등에서 한층 더 나아가 유기화학, 양자기학, 미생물학, 생화학 등을 말이죠.

 

이렇게 대학을 다니며 배우고자 하는 학문을 세부적인 부분까지 정했다면 대학원 교수님들 중 그 분야에 저명하다고 하는 분이 계시는 대학원에 지원하는 것입니다.

 

이때 합격을 하기 위해서 학부 성적을 잘 받아놓으면 좋아요^^

해외 유명회사 과학자 연봉 수준 (2023)

과학자 취업처 및 연봉수준은?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까지 마쳤다면 비로소 스스로 연구과제를 수행 할 수 있는 전문연구인이 되었다고 할 수 있어요.

 

우리나라에서 전문연구인으로서 받는 평균 연봉은 약 6400만 원입니다.

 

이 경우 국내외 대기업 연구소, 국공립 연구소, 대학 교수 등으로 진로를 가질 수 있죠.

 

하지만 국내의 회사들은 박사까지 마친 사람들이라고 하더라도 기업 과장 수준의 급여밖에 받지 못해요.

 

오랜기간 학문을 탐구한 결과로는 많이 아쉬운 처우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저는 위와 같이 해외의 기업들로 눈을 돌리시길 권장드려요.

 

한국에서 석사,.박사학위까지 받은 과학자들에 대한 처우는 해외가 좋습니다.

 

해외 과학자라고 하더라도 물리분야가 조금 더 잘 받고 하는 것은 있겠지만 어느 분야라도 처우가 안좋다는 느낌은 받을 수 없을 만큼 대우를 잘 받는 편이에요^^

 

지금까지 과학자 되는법 및 연봉 등에 관한 정보에 대해 소개해드렸어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