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헨리의 스터디룸

훈민정음 해례본 서문 나랏말싸미 듕귁에 달아 해석 창제 배경은?

by 공부하는 헨리 2024. 6. 19.

훈민정음-나랏말싸미-창제-서문-해석

안녕하세요! 나랏말싸미 듕귁에 달아~ 오늘은 훈민정음 해례본 해석 창제 관련해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훈민정음은 예의와 해례 두 가지로 나뉘며, 그중 예의는 세종대왕이 한글을 만든 이유와 사용법, 해례본은 집현전의 학자들이 한글을 만든 원리와 용법의 자세한 설명이 담겨있습니다.

 

한글 창제의 원리가 담긴 해례는 1940년에 발견되었고, 해방 이후에 세상에 알려졌습니다. 한글 덕분에 오늘날 우리나라의 문맹률은 매우 낮습니다. 또한 훈민정음 해례본은 대한민국의 국보로 지정되었고, 마침내 1997년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에 등재되었습니다.

 

무엇보다도 훈민정음 서문에는 한글 창제 취지가 명확히 쓰여 있습니다. 다른 나라의 역사에서도 언어를 위해 새로운 글자를 만들기는 했지만, 훈민정음처럼 책으로 남긴 기록은 잘 없다는 점에서 해례본은 더 귀한 역사적 자료가 되었습니다.

 

* 목차

  1. 훈민정음 창제 배경
  2. 훈민정음 나랏말싸미 원문
  3. 해례본 서문 해석

훈민정음-해례본-원문
국보 제70호 훈민정음 해례본

훈민정음 해례본 창제 배경 및 의미

훈민정음 창제 배경은 세종대왕께서 백성들이 많은 것을 알기를 바라는 애정과 걱정을 기반으로 합니다. 훈민정음이라는 말의 뜻 자체가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를 의미하는 것에서 알 수 있습니다.

 

당시 우리나라의 고유한 문자가 없었기 때문에 우리의 말을 표현하기가 어려웠습니다. 더구나 한자 자체가 배우기에 어렵기 때문에 문맹인 백성들이 많았습니다.

 

과학적 원리로 만들어서 1443년에 만들고, 1446년에 반포하게 됩니다. 지금 생각하면 한 나라에 글자가 존재하는 것이 당연하게 느껴질 수 있겠지만, 당시는 중국이 세계의 중심이라 생각했기 때문에 많은 대신들은 이러한 대국의 제도를 버리는 것에 대해 반발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세종은 이에 굴하지 않고 한글 창제와 반포를 강행하게 되었고, 배우기 쉽고 쓰기 쉬운 글자 덕분에 한글을 만든 취지에 맞게 백성들은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게 되었습니다.

 

훈민정음 서문 나랏말싸미 듕귁에 달아

훈민정음의 서문은 우리나라 사람이라면 흔히 알고 있는 나랏말싸미 듕귁에 달아~로 시작합니다.

 

* 서문이란?

책이나 문학 작품을 쓴 저자가 소개하는 글을 의미합니다.

 

서문에 나온 원문 발음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정말로 아래의 발음대로 읽었을지는 알 수 없다고 합니다.

 

하지만 많은 언어학자들의 의견을 모아 재현하려고 노력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물이 나왔다고 합니다. 다소 어색하고 어려운 부분도 있지만 오늘날의 우리말과도 매우 흡사합니다.

 

"나랏말싸미 듕귁에 달아 문자 와로 서르 사맛디 아니할세.

 

이런 전차로 어린 백셩이 니르고져 홀베이셔도,

마참네 제 뜨들 시러펴디 몯할 노미하니아.

 

내 이랄 윙하야 어엿비너겨 새로 스믈 여들 짜를 맹그노니,

사람마다 하여 수비니겨 날로 쑤메 뻔한킈 하고져 할따라미니라."

 

훈민정음 해례본 서문 해석

훈민정음 해례본 서문 해석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원문 발음에는 경음과 다소 생소한 어휘들이 등장해 헷갈릴 수 있어 아래의 내용으로도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나랏말씀이 중국과 달라 문자끼리 서로 맞지 아니하다.

이런 이유로 어리석은 백성이 이르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마침내 자기 뜻을 펴지 못하는 이가 많구나.

내 이를 위하여 가엾게 여겨 새로 스물여덟 자를 만드노니,

사람마다 하여금 쉬이 익혀 날로 씀에 편안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니라.

 

그래도 어투에서 어색함이 느껴질 수 있어서 더 쉬운 요즘 말 버전으로도 써봤습니다.

 

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와 서로 통하지 않는다.

그래서 어리석은 백성들이 하고 싶은 이야기가 있다고 하더라도

결국 글로 표현하지 못하는 이가 많다.

내가 이것을 안쓰럽게 여겨서 새로 28 글자를 만드니,

누구나 이를 쉽게 익혀서 매일 쓰기 편안하게 하고 싶다.

 

아래의 버전이 더 읽기 수월하시리라 생각됩니다.

 

이제까지 훈민정음 창제 나랏말싸미 원문 해례본 서문 해석 알아보았습니다. 이를 알고 보니 한글에 대한 애정이 더욱 샘솟지 않으실는지요.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한글, 훈민정음을 더욱 소중히 대하고 지켜야 하겠습니다.

댓글